NXTSTIM의 EcoAI 기기, 18개월 실증 연구 통해 통증 완화 입증
NXTSTIM은 FDA 승인 제품인 EcoAI의 장기적인 통증 완화 효과를 보여주는 18개월 실증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NXTSTIM의 18개월 연구가 주목받는 이유는 장기 연구로서 관심 있는 대표적인 통증 치료 사례 중 하나로, 통증 관리 솔루션에 있어서 신뢰성을 제공한 점에 있습니다.
- 통증이 일시적으로 완화되는 것에 비해, 장기적인 통증 완화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며, 거동이 제한된 환자들에게도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다양한 통증 부위에 적용된 550명의 성인 환자
실제 환경에서 진행된 이번 연구는 허리, 목, 어깨, 무릎 등 다양한 부위의 통증을 겪는 550명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EcoAI 사용 후 18개월 동안 92%의 환자가 통증 개선을 보고했습니다. 특히 66% 이상의 환자가 기준치 대비 시각적 통증 척도에서 최소 40%의 개선을 보였습니다.
- 이 연구는 환자 개개인의 생활 패턴에 맞춘 다양한 케어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통증 원인과 부위가 다른 환자들에게 다양한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여 각자의 필요에 맞추어 치료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시각적 통증 척도(VAS)는 통증의 주관적 감각을 객관적으로 평가해주며, 최소 40%의 개선은 일상적인 통증 관리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안전성과 효과 모두 입증된 전자치료 접근법
Prachi Patel MD는 “EcoAI AIML 기술과 원격 환자 모니터링을 결합하여 내구성 있는 결과를 보여준 첫 번째 대규모 실증”이라며, “부작용 없이 66% 이상의 환자에게 의미 있는 통증 완화를 제공한 이번 접근법은 통증 치료의 획기적인 접근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AIML 기반의 통증 관리 시스템은 환자와 의료진 간의 실시간 데이터와 피드백을 통해 치료 과정을 최적화하며, 환자 개개인에게 맞춤형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이번 연구는 전자치료 기기의 사용이 전통적인 약물치료에 비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감염이나 부작용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 특히 중요합니다.
웨어러블 기술과 신경조절 시장의 성장 전망
의료 분야에서 웨어러블 기술의 시장 규모는 2023년에 1,0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경조절 시장 역시 2023년 약 70억 달러에서 2030년 107억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
- 시장의 성장은 의료 기기의 디지털 전환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의료 기기를 자신의 생활 방식에 통합할 수 있게 하여 더욱 광범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 이러한 성장은 환자에게 더욱 지속 가능한 케어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하며, 병원 외부에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여 치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EcoAI 기기의 작동 원리 및 특징
EcoAI 기기는 말초 신경계에서 중추 신경계로의 통증 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과거 임상 데이터와 증거에 기반한 사전 설정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으며, AI를 활용하여 환자 데이터를 기록하고 개별화된 신경 자극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신경 자극 기술은 중추 신경계의 특정 경로를 차단하거나 조정함으로써, 통증 완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과다한 약물 사용 없이도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AI 기반의 데이터 분석 덕분에 EcoAI 기기는 환자의 상태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맞추어 자극 강도 및 주기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개별화된 치료가 가능합니다.
사용 편리성과 원격 모니터링 기능
환자는 통증 부위에 젤 패드를 부착하고 블루투스를 통해 휴대폰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또한, NXSTIM의 전자치료 기기는 원격 환자 모니터링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미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원격 모니터링 기기로 승인받았습니다.
- EcoAI의 편리한 사용법은 환자의 자가 관리와 지속적인 치료 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가 자신의 치료 과정을 적극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하여, 치료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원격 모니터링 기술 덕분에 의료진은 환자의 통증 패턴과 반응을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치료 계획을 조정하여 더욱 효과적인 케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